네지메 S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지메 SC는 1945년 레바논 베이루트에서 창단된 축구 클럽으로, 레바논 드루즈 및 수니파 무슬림 커뮤니티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초대 회장은 아니스 라드완이었다. 1951년 레바논 세컨드 디비전에서 우승 후 레바논 프리미어 리그에 참가했으며, 1971년 레바논 FA컵에서 첫 우승을 거두었다. 1970년대에는 펠레와 베베투가 명예 선수로 참여하기도 했다. 2005년 AFC 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2000년에는 아시아 최고의 팀으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지메 SC - 라피크 하리리 경기장
레바논 베이루트의 라피크 하리리 경기장은 네즈메 클럽의 홈구장으로, 1969년 건설 시작 후 2004년 개장했으며 2005년 라피크 하리리 전 총리 암살 후 그의 이름을 따 명칭이 변경되었고, 2023년 재건축 1단계가 완료되었다. - 레바논 프리미어리그 구단 - 사파 SC
사파 SC는 레바논 베이루트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레바논 프리미어 리그 3회 우승, 레바논 FA컵 3회 우승 등을 기록했으며 AFC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바 있다. - 레바논 프리미어리그 구단 - 알아헤드 FC
레바논 베이루트를 연고로 하는 알아헤드 FC는 1964년 창단되어 레바논 프리미어 리그 9회 우승, 레바논 FA컵 6회 우승, 그리고 2019년 AFC컵 우승을 통해 레바논 클럽 최초로 국제 대회 우승을 차지한 레바논 축구의 강호이다.
네지메 SC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버건디 성채) |
짧은 이름 | 네지메 |
전체 이름 | 네지메 스포츠 클럽 |
창단 | 1945년 3월 10일 |
회장 | 마젠 알 자아니 |
감독 | 아바스 아흐마드 아트위 |
경기장 | 라피크 하리리 경기장 |
수용 인원 | 5,000명 |
웹사이트 | 네지메 스포츠 클럽 공식 웹사이트 |
클럽 색상 및 후원사 | |
셔츠 공급자 | Peak |
셔츠 스폰서 | Bank Med |
리그 정보 | |
소속 리그 | 레바논 프리미어리그 |
시즌 | 2023–24 시즌 |
2. 역사
네지메는 1945년 레바논 베이루트의 라스 베이루트 출신 레바논 드루즈와 레바논 수니파 무슬림 커뮤니티에 의해 축구 클럽으로 설립되었으며, 초대 회장은 아니스 라드완이었다.[6] 이 위원회는 1947년 3월 4일 레바논 정부에 면허를 신청했으며,[7] 4월 28일에 발급되었다.[6] 클럽 이름은 1945년 10월 11일 라드완의 집에서 팀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밤에 회의가 열렸을 때 밤하늘의 별을 보면서, 라드완은 팀을 네지메(별)라고 부르기로 결정했다고 한다.[6] 오각별은 드루즈의 종교적 상징이다.[5]
1950년 7월 25일, 네지메는 레바논 세컨드 디비전에서 우승했지만, 1951년에 공식적으로 승격되었으며,[7] 당시 파프켄 포야지안이 클럽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들은 1953-54 시즌에 처음으로 레바논 프리미어 리그에 참가했다.[7] 네지메는 레바논 FA컵에서 1951년과 1964년 두 번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결승전에서 각각 알 샤비바 마즈라 베이루트와 사파 SC에 패했다.[8]
1971년 10월 31일, 사파 SC를 3-1로 꺾고 레바논 FA컵에서 첫 번째 트로피를 들어올렸다.[9] 네지메의 골은 자말 알 카팁, 하산 샤틸라, 마흐무드 샤틸라가 기록했다.[9] 1970년대에 브라질 국가대표 선수 펠레[10][11][12][13]와 베베투[14][15][16]가 명예 손님으로 네지메와 함께 경기를 뛰었다.
2. 1. 창단과 초기 (1945-1970)
1945년 레바논 베이루트의 라스 베이루트 출신 레바논 드루즈와 레바논 수니파 무슬림 커뮤니티에 의해 축구 클럽으로 설립되었으며, 초대 회장은 아니스 라드완이었다.[6] 이 위원회는 1947년 3월 4일 레바논 정부에 면허를 신청했으며,[7] 4월 28일에 발급되었다.[6] 클럽 이름은 1945년 10월 11일 라드완의 집에서 팀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밤에 회의가 열렸을 때 밤하늘의 별을 보면서, 라드완은 팀을 네지메(별)라고 부르기로 결정했다고 한다.[6] 오각별은 드루즈의 종교적 상징이다.[5]1950년 7월 25일, 네지메는 레바논 세컨드 디비전에서 우승했지만, 1951년에 공식적으로 승격되었으며,[7] 당시 파프켄 포야지안이 클럽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들은 1953-54 시즌에 처음으로 레바논 프리미어 리그에 참가했다.[7] 네지메는 레바논 FA컵에서 1951년과 1964년 두 번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결승전에서 각각 알 샤비바 마즈라 베이루트와 사파 SC에 패했다.[8]
1971년 10월 31일, 사파 SC를 3-1로 꺾고 레바논 FA컵에서 첫 번째 트로피를 들어올렸다.[9] 네지메의 골은 자말 알 카팁, 하산 샤틸라, 마흐무드 샤틸라가 기록했다.[9] 1970년대에 브라질 국가대표 선수 펠레[10][11][12][13]와 베베투[14][15][16]가 명예 손님으로 네지메와 함께 경기를 뛰었다.
2. 2. 첫 우승과 펠레의 방문 (1970-1980)
1950년 7월 25일, 네지메는 레바논 세컨드 디비전에서 우승했지만, 1951년에 공식적으로 승격되었으며,[7] 당시 파프켄 포야지안이 클럽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들은 1953-54 시즌에 처음으로 레바논 프리미어 리그에 참가했다.[7] 네지메는 레바논 FA컵에서 1951년과 1964년 두 번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결승전에서 각각 알 샤비바 마즈라 베이루트와 사파 SC에 패했다.[8]네지메는 1971년 10월 31일, 사파를 3-1로 꺾고 레바논 FA컵에서 첫 번째 트로피를 들어올렸다.[9] 네지메의 골은 자말 알 카팁, 하산 샤틸라, 마흐무드 샤틸라가 기록했다.[9] 1970년대에 브라질 국가대표 선수 펠레[10][11][12][13]와 베베투[14][15][16]가 명예 손님으로 네지메와 함께 경기를 뛰었다.
2. 3. 아랍 클럽 챔피언스컵 준우승 (1980년대)
네지메는 1945년 레바논 베이루트의 라스 베이루트 출신 레바논 드루즈와 레바논 수니파 무슬림 커뮤니티에 의해 축구 클럽으로 설립되었으며, 초대 회장은 아니스 라드완이었다.[6] 이 위원회는 1947년 3월 4일 레바논 정부에 면허를 신청했으며,[7] 4월 28일에 발급되었다.[6] 클럽 이름의 선택은 1945년 10월 11일 라드완의 집에서 팀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밤에 회의가 열렸을 때 결정되었다고 한다.[6] 밤하늘의 별을 보면서, 라드완은 팀을 네지메(별)라고 부르기로 결정했다.[6] 오각별은 드루즈의 종교적 상징이다.[5]
1950년 7월 25일, 네지메는 레바논 세컨드 디비전에서 우승했지만, 1951년에 공식적으로 승격되었으며,[7] 당시 파프켄 포야지안이 클럽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들은 1953-54 시즌에 처음으로 레바논 프리미어 리그에 참가했다.[7] 네지메는 레바논 FA컵에서 1951년과 1964년 두 번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결승전에서 각각 알 샤비바 마즈라 베이루트와 사파 SC에 패했다.[8]
네지메는 1971년 10월 31일, 사파를 3-1로 꺾고 레바논 FA컵에서 첫 번째 트로피를 들어올렸다.[9] 네지메의 골은 자말 알 카팁, 하산 샤틸라, 마흐무드 샤틸라가 기록했다.[9] 1970년대에 브라질 국가대표 선수 펠레[10][11][12][13]와 베베투[14][15][16]가 명예 손님으로 네지메와 함께 경기를 뛰었다.
2. 4. AFC컵 준우승과 전성기 (2000년대)
1990년대부터 네지메 SC는 아시아 축구 연맹(AFC) 주관 대회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1990-91 시즌 AFC 컵 위너스컵 1라운드에서 알 무하라크 클럽에 합계 1-8로 패했다. 1996-97 시즌 AFC 챔피언스 리그 2라운드에서는 알 나스르 FC에 합계 1-4로 패했다. 1997-98 시즌과 1998-99 시즌 AFC 컵 위너스컵에도 참가했으나, 각각 알 가라파에 합계 0-3으로 패하고, 알 아흘리 도하에는 기권했다.2000년대에 들어서 네지메는 AFC컵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02-03 시즌 AFC 챔피언스 리그 예선 1라운드에서 알 와흐다트 SC에 합계 2-3으로 패했다. 2004 AFC 컵에서는 A조 1위로 8강에 진출, 알 와흐다 다마스쿠스를 원정 다득점 규칙으로 꺾고 4강에 올랐다. 2005 AFC 컵에서는 결승까지 진출했으나, 알 파이살리에 합계 2-4로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2006 AFC 컵에서는 D조 2위로 8강에 진출, 셀랑고르 FA를 꺾고 4강에 올랐으나 알 무하라크 클럽에 합계 3-6으로 패했다. 2007 AFC 컵에서는 A조 1위로 8강에 진출, 마힌드라 유나이티드를 꺾었으나 준결승에서 샤바브 알 오르돈 클럽에 합계 0-1로 패했다. 이후 2010 AFC 컵 D조에서는 3위로 탈락했고, 2014 AFC 컵 16강에서는 알 에르빌 SC에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
2. 5. 최근 (2010년대-현재)
1945년 레바논 베이루트의 라스 베이루트 출신 레바논 드루즈와 레바논 수니파 무슬림 커뮤니티에 의해 축구 클럽으로 설립되었으며, 초대 회장은 아니스 라드완이었다.[6] 이 위원회는 1947년 3월 4일 레바논 정부에 면허를 신청했으며,[7] 4월 28일에 발급되었다.[6] 클럽 이름은 1945년 10월 11일 라드완의 집에서 팀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밤에 회의가 열렸을 때 밤하늘의 별을 보면서, 팀을 네지메(별)라고 부르기로 결정했다.[6] 오각별은 드루즈의 종교적 상징이다.[5]1950년 7월 25일, 네지메는 레바논 세컨드 디비전에서 우승했지만, 1951년에 공식적으로 승격되었으며,[7] 당시 파프켄 포야지안이 클럽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들은 1953-54 시즌에 처음으로 레바논 프리미어 리그에 참가했다.[7] 네지메는 레바논 FA컵에서 1951년과 1964년 두 번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결승전에서 각각 알 샤비바 마즈라 베이루트와 사파 SC에 패했다.[8]
1971년 10월 31일, 사파를 3-1로 꺾고 레바논 FA컵에서 첫 번째 트로피를 들어올렸다.[9] 네지메의 골은 자말 알 카팁, 하산 샤틸라, 마흐무드 샤틸라가 기록했다.[9] 1970년대에 브라질 국가대표 선수 펠레[10][11][12][13]와 베베투[14][15][16]가 명예 손님으로 네지메와 함께 경기를 뛰었다.
3. 경기장
라피크 하리리 스타디움은 레바논 베이루트의 마나라 지역에 있다.[19] 이 경기장은 축구장과 약 5,000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 약 100명의 VIP 손님을 위한 VIP 좌석 공간, 카페테리아, 체육관으로 구성되어 있다.[20]
과거 클럽 경기장은 베이루트 라스 베이루트 지역의 토지 번호 704에 위치한 모래 훈련장이었으며, 시설이나 울타리가 없었다.[20] 2003년 6월부터 2004년 3월 말까지 경기장 재활 과정의 첫 번째 단계가 진행되었으며, 잔디 심기, 관중석 확대, 경기장 시설, 벽, 울타리 개선 등이 이루어졌다.[20]
2005년 2월 21일, 경기장은 라피크 하리리 전 총리를 기리기 위해 "순교자 라피크 하리리 스타디움"으로 명명되었다.[20]
4. 유니폼과 엠블럼
네지메 SC는 창단 이래로 전통적으로 주요 색상은 적갈색이었다.[28] 클럽의 배지는 중앙에 별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아랍어로 "별"을 의미하는 클럽의 이름을 나타낸다.[6] 로고 양쪽에 있는 두 개의 레바논 삼나무는 레바논의 국가 상징을 떠올리게 했다.
2019년 로고는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별은 흰색에서 금색으로, 삼나무는 녹색에서 적갈색으로, 텍스트는 적갈색에서 검은색으로 변경되었다. 흰색 테두리의 폭을 넓히고 "BEIRUT 1945" 텍스트를 별 중앙에서 아래로 이동시키는 등 다른 사소한 변경 사항도 있었다.[17]
2023년에는 로고가 대폭 변경되어 더욱 단순한 스타일을 채택했다. 적갈색 "N"(네지메)과 "C"(클럽)가 융합된 픽토그램이 되었으며, 중앙에는 금색 별이 있다. 위에는 "1945", 아래에는 "BEIRUT" 텍스트가 적갈색으로 쓰여 있다.[18]
5. 서포터즈
2018년 2월 9일에 창단된[21] 네지메의 "울트라스 슈퍼노바"는 레바논에서 처음으로 소개된 울트라스 그룹이었다.[22][23][24] "초신성"(Supernova)이라는 이름은 아랍어로 "별"을 의미하는 네지메의 어원과 관련이 있다.
2018년 8월 13일에 열린 아랍 클럽 챔피언스컵에서 알 아흘리와의 경기 전, "울트라스 슈퍼노바" 팬 7명이 이집트 국가 안보에 의해 체포되었다. 이집트에서 "울트라스"라는 단어가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25] 레바논 대사가 카이로에 요청하여 팬들은 레바논으로 송환되었다.[26]
2022 FIFA 월드컵에서 네지메 울트라스는 카타르 정부에 의해 카타르 축구 국가대표팀 팬 역할을 하도록 고용되었다. 1,500명의 "채택된" 울트라스는 앞면에 "Qatar"가 찍힌 짙은 빨간색 티셔츠를 입고, 카타르 국가를 불렀으며, 응원가를 부르며 드럼을 쳤다.[27]
6. 라이벌
안사르와의 베이루트 더비는 역사적으로 레바논에서 가장 기대되는 경기였다. 베이루트에 위치한 네지메와 안사르는 대부분의 우승을 공유해왔다. 네지메가 아시아에서 더 성공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안사르는 가장 많은 리그 우승과 FA컵을 보유하고 있다.[28]
최근 몇 년 동안 네지메와 아헤드 사이에 또 다른 치열한 라이벌 관계가 형성되었다. 베이루트에 기반을 둔 아헤드는 2014–15 시즌 이후 리그 우승을 대부분 차지했다. 두 팀 간의 긴장으로 인해 협회가 여러 번 경기 장소를 변경해야 했다.[29] 2016–17 시즌에 네지메는 리그 우승 결정전에서 아헤드를 상대로 경기를 거부했고, 협회로부터 승점 6점 삭감 징계를 받았다.[30]
최근 몇 년 동안 살람 자르타와도 라이벌 관계가 형성되었다. 2016–17 시즌 이후, 살람 자르타와 네지메는 서로 다양한 격렬한 경기를 치렀으며, 일부는 모욕적인 응원으로까지 격화되었다.[31]
다른 중요한 경기들은 네지메와 같은 도시에 위치한 사파 및 레이싱과의 경기이다.
7. 선수
wikitext
2024년 9월 11일 기준 네지메 SC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32]
등번호 | 포지션 | 국적 | 이름 |
---|---|---|---|
1 | GK | 알리 사베 | |
2 | DF | 알리 알리다 이스마일 | |
3 | DF | 후세인 모르타다 | |
10 | MF | 마흐디 제인 | |
11 | FW | 모하마드 마르카바위 | |
13 | DF | 압달라 무그라비 | |
16 | FW | 모하마드 사프완 | |
17 | DF | 칼레드 알 하지르 | |
18 | DF | 카셈 엘 제인 (주장) | |
20 | MF | 하산 쿠라니 | |
22 | GK | 모하마드 베차라 | |
24 | DF | 마헤르 사브라 | |
30 | FW | 라비 아타야 | |
70 | FW | 모하마드 오마르 사덱 | |
77 | DF | 사이드 아와다 | |
FW | 후세인 시블리니 | ||
DF | 하산 세르카위 | ||
MF | 후세인 몬제르 | ||
MF | 빌랄 사바그 | ||
FW | 파델 안타르 | ||
FW | 콜린스 오파레 | ||
MF | 바바 압둘라이 무사 | ||
DF | 냔테 콰베나 다르코 | ||
MF | 알리 샤이투 | ||
MF | 자드 후세인 | ||
GK | 앙투안 알 두아이히 |
2000년 AFC 아시안컵에는 아바스 샤르루르, 와히드 엘 파탈, 모하메드 할라위, 무사 호제이즈가 레바논 국가대표로 참가했다. 2007년 AFC 아시안컵에는 바심 아바스가 이라크 국가대표로 참가했다.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오사마 츠티바가 리비아 국가대표로 참가했다.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하산 와스와가 우간다 국가대표로 참가했다.
2019년 AFC 아시안컵에는 카셈 엘 제인, 알리 하맘, 하산 마투크, 나데르 마타르가 레바논 국가대표로 참가했다.
모하마드 가달은 2000년부터 2009년까지 네지메 SC에서 활동했다. 켄달 벨록스는 2000년부터 2001년까지 네지메 SC에서 활동했다. 유세프 모하마드는 2016년부터 네지메 SC에서 활동하고 있다.
7.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9월 11일 기준)
2024년 9월 11일 기준 네지메 SC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32]등번호 | 포지션 | 국적 | 이름 |
---|---|---|---|
1 | GK | 알리 사베 | |
2 | DF | 알리 알리다 이스마일 | |
3 | DF | 후세인 모르타다 | |
10 | MF | 마흐디 제인 | |
11 | FW | 모하마드 마르카바위 | |
13 | DF | 압달라 무그라비 | |
16 | FW | 모하마드 사프완 | |
17 | DF | 칼레드 알 하지르 | |
18 | DF | 카셈 엘 제인 (주장) | |
20 | MF | 하산 쿠라니 | |
22 | GK | 모하마드 베차라 | |
24 | DF | 마헤르 사브라 | |
30 | FW | 라비 아타야 | |
70 | FW | 모하마드 오마르 사덱 | |
77 | DF | 사이드 아와다 | |
FW | 후세인 시블리니 | ||
DF | 하산 세르카위 | ||
MF | 후세인 몬제르 | ||
MF | 빌랄 사바그 | ||
FW | 파델 안타르 | ||
FW | 콜린스 오파레 | ||
MF | 바바 압둘라이 무사 | ||
DF | 냔테 콰베나 다르코 | ||
MF | 알리 샤이투 | ||
MF | 자드 후세인 | ||
GK | 앙투안 알 두아이히 |
7. 2. 주요 선수
2000년 AFC 아시안컵에는 아바스 샤르루르, 와히드 엘 파탈, 모하메드 할라위, 무사 호제이즈가 레바논 국가대표로 참가했다. 2007년 AFC 아시안컵에는 바심 아바스가 이라크 국가대표로 참가했다.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오사마 츠티바가 리비아 국가대표로 참가했다.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하산 와스와가 우간다 국가대표로 참가했다.2019년 AFC 아시안컵에는 카셈 엘 제인, 알리 하맘, 하산 마투크, 나데르 마타르가 레바논 국가대표로 참가했다. 2023년 AFC 아시안컵에는 알리 사베, 마헤르 사브라, 카셈 엘 제인이 레바논 국가대표로 참가했다.
모하마드 가달은 2000년부터 2009년까지 네지메 SC에서 활동했다. 켄달 벨록스는 2000년부터 2001년까지 네지메 SC에서 활동했다. 유세프 모하마드는 2016년부터 네지메 SC에서 활동하고 있다.
8. 역대 감독
wikitable
감독 | 임기 |
---|---|
오토 피스터/Otto Pfisterde | |
압둘아지즈 압둘샤피/Abdul-Aziz Abdul-Shafiar | |
파울루 메네지스/Paulo Menezespt |
9. 수상 기록
- 레바논 프리미어 리그 '''우승''' (9): 1972-73, 1974-75, 2000년, 2002년, 2004년, 2005년, 2009년, 2014년, 2024년[33]
- 레바논 세컨드 디비전 우승 (1): 1950-51[33]
- 레바논 FA컵 '''우승''' (8): 1970-71, 1986-87, 1988-89, 1996-97, 1997-98, 2015–16, 2021–22, 2022–23
- 레바논 FA컵 준우승 (9): 1950-51, 1963-64, 1995-96, 2002-03, 2003-04, 2011–12, 2014–15, 2017–18, 2020–21
- 레바논 엘리트 컵 '''우승''' (12): 1996년, 1998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14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21년
- 레바논 엘리트 컵 준우승 (2): 1997년, 2013년
- 레바논 슈퍼컵 '''우승''' (7): 2000년, 2002년, 2004년, 2009년, 2014년, 2016년, 2023년
- 레바논 슈퍼컵 준우승 (5): 1996년, 1997년, 2005년, 2018년, 2021년
- AFC컵 준우승 (1): 2005
- 아랍 클럽 챔피언스 컵 준우승 (1): 1981-82
- '''아시아 최고의 팀'''[34]
- *'''우승 (1):''' 2000년 3월
9. 1. 국내 대회
네지메 SC는 레바논 축구 리그에서 1973년, 1975년, 2000년, 2002년, 2004년, 2005년, 2009년, 2014년, 2024년까지 총 9번 우승을 차지했다.[33] 또한, 레바논 세컨드 디비전에서 1950-51시즌에 우승을 차지한 기록이 있다.[33]레바논 FA컵에서는 1970-71, 1986-87, 1988-89, 1996-97, 1997-98, 2015–16, 2021–22, 2022–23 시즌에 우승하여 총 8번의 우승컵을 들어 올렸고, 1950-51, 1963-64, 1995-96, 2002-03, 2003-04, 2011–12, 2014–15, 2017–18, 2020–21 시즌에는 준우승을 기록하여 총 9번 준우승했다.
레바논 엘리트 컵에서는 1996년, 1998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14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21년에 우승하여 최다 우승팀(총 12회)이며, 1997년과 2013년에는 준우승했다.
레바논 슈퍼컵에서는 2000년, 2002년, 2004년, 2009년, 2014년, 2016년, 2023년에 우승하여 총 7번 우승했고, 1996년, 1997년, 2005년, 2018년, 2021년에는 준우승하여 총 5번 준우승했다.
9. 2. 국제 대회
2005 AFC컵에서 준우승을 한 차례 기록했으며, 1981-82 아랍 클럽 챔피언스 컵에서도 준우승을 한 차례 기록했다.9. 3. 개인 수상
10. AFC 주관 대회 성적
네지메는 1982년 아랍 클럽 챔피언스컵 결승에 진출했지만, 알 쇼르타에게 패했다.[35] 2005년에는 AFC 컵 결승에 진출하여 요르단의 알-파이살리에게 패하며 준우승을 기록했는데, 이는 레바논 축구팀이 아시아 대회 결승에 진출한 최초의 사례였다.[28]
AFC 챔피언스 리그에는 2회 출전하여, 1996-97 시즌에는 2라운드, 2002-03 시즌에는 1라운드에 진출했다. AFC 컵에는 11회 출전하여 2005 시즌 준우승을 포함, 2006 시즌과 2007 시즌에는 준결승에 진출했다. 2024-25 시즌에는 AFC 챌린지 리그에 첫 출전할 예정이다. 아시안 컵 위너스 컵에는 3회 출전하여 모두 1라운드에 진출했다.
연도 | 대회 | 라운드 | 상대 클럽 | 홈 | 원정 | 합계 |
---|---|---|---|---|---|---|
1990-91 | AFC 컵 위너스컵 | 1라운드 | 알 무하라크 클럽 | 0-3 | 1-5 | 1-8 |
1996-97 | AFC 챔피언스 리그 | 2라운드 | 알 나스르 FC | 1-0 | 0-4 | 1-4 |
1997-98 | AFC 컵 위너스컵 | 1라운드 | 알 가라파 | 0-0 | 0-3 | 0-3 |
1998-99 | AFC 컵 위너스컵 | 1라운드 | 알 아흘리 도하 | 기권 | ||
2002-2003 | AFC 챔피언스 리그 | 예선 1라운드 | 알 와흐다트 SC | 0-0 | 2-3 | 2-3 |
2004 | AFC 컵 | A조 | 3-0 | 1-1 | 1위 통과 | |
2-0 | 1-0 | |||||
3-1 | 1-0 | |||||
8강 | 알 와흐다 다마스쿠스 | 3-2 | 1-2 | 4-4 (a) | ||
2005 | AFC 컵 | C조 | 4-1 | 2-0 | 1위 통과 | |
1-0 | 1-0 | |||||
8강 | 홈 유나이티드 FC | 3-2 | 3-0 | 6-2 | ||
준결승 | 사우스 차이나 AA | 3-0 | 3-2 | 6-2 | ||
결승 | 알 파이살리 | 2-3 | 0-1 | 2-4 | ||
2006 | AFC 컵 | D조 | HTTU 아시가바트 | 6-2 | 2-2 | 2위 통과 |
알 파이살리 | 2-1 | 0-2 | ||||
8강 | 셀랑고르 FA | 0-0 | 1-0 | 1-0 | ||
준결승 | 알 무하라크 클럽 | 1-2 | 2-4 | 3-6 | ||
2007 | AFC 컵 | A조 | 1-0 | 1-0 | 1위 통과 | |
알 사크르 SC | 2-1 | 2-1 | ||||
샤바브 알 오르돈 클럽 | 2-1 | 0-2 | ||||
8강 | 3-3 | 2-1 | 5-4 | |||
준결승 | 샤바브 알 오르돈 클럽 | 0-0 | 0-1 | 0-1 | ||
2010 | AFC 컵 | D조 | 알 카디시야 SC | 1-3 | 1-1 | 3위 탈락 |
이스턴 SC | 3-0 | 4-0 | ||||
알 이티하드 | 1-0 | 2-4 | ||||
2014 | AFC 컵 | B조 | 쿠웨이트 SC | 1-1 | 1-2 | 2위 통과 |
알 자이시 SC | 0-0 | 1-0 | ||||
판자 SC | 1-0 | 0-0 | ||||
16강 | 알 에르빌 SC | 0-0 (연장전) | 0-0 (0-3 p) | |||
2015 | AFC 컵 | D조 | 쿠웨이트 SC | rowspan=3| | ||
{{flagicon|} | } 미정